교실소개

 

수의면역학 교실은 2008년 최경철 교수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조교수로 근무 후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에 외국인 전임교수로 처음 발령받아 설립되었다. 최경철 교수는 수의생화학 및 실험 I과 II를 본과 1학년에서 정의배 교수와 팀티칭으로 강의하고 있으며 수의면역학은 본과 2학년 1학기에 강의해 왔다. 수의면역학의 경우 최경철 교수 부임 전에는 현재 퇴임하신 강신영 교수가 강의를 해왔으며 일부 시간 강사들이 대체하여 강의해왔다. 2008년 부임 후에는 최경철 교수가 수의면역학을 전담 강의하면서 현재까지 이르고 있으며 수의면역학 교실은 2008년도부터 학부생, 2010년부터 첫 대학원생(석/박사과정)을 선발하여 운영해왔다. 수의면역학 교실은 아래의 연구분야에 대해 활발히 연구를 수행해왔으며 2017년에 수의면역학 교실 설립 10주년을 맞이하였다. 2022년9월 현재 총 2명의 박사후 연구원, 5명의 박사, 26명의 석사 및 21명의 학부생이 졸업하였으며 국가연구기관, 제약 및 생명과학 관련 연구기관, 동물병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 중이다. 2022년 현재에는 연구교수 2명, 박사과정 5명 및 석사과정 8명, 학부인턴생 3명 등 총 18명의 실험실 연구진이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연구와 실험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수의학뿐만 아니라, 기초 자연과학을 응용하고, 이러한 연구 활동을 통해 암의 발생 및 증식작용의 기전을 밝히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한 암을 특이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줄기세포의 확립과 암의 연구에 적합한 동물 모델 구축을 목표로 한다. 나아가, 활발한 연구 활동을 통해 우수 인재를 양성하고, 새로운 의학 기술의 시발점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에 공헌하고자 한다. 본 실험실에서는 특히 ‘치료유전자를 발현 하는 줄기세포를 이용한 암세포 특이적 치료법 고안’ 과 ‘내분비 교란 물질에 의한 암세포의 증식 효과’ 에 대해 활발히 연구가 진행 중이며, 구체적인 연구 활동은 아래와 같다.

 

1. 면역학 및 생화학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제공

면역이란 신체 방어 시스템으로써, 본 실험실에서는 여러 가지 면역 작용의 원리 및 작용 조절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부터 면역 반응에 관계하는 유전자 등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까지 전반적인 면역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자연과학 분야와 수의학을 연결시켜줄 수 있는 수의생화학의 기초적인 내용도 포함한다. 체계적인 강의를 통해, 면역학 및 생화학 등의 생명 과학의 발전에 공헌 할 수 있는 전문적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2. 치료 유전자를 발현하는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암세포 특이적 이주성 및 암세포의 선택적 사멸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메커니즘 연구

(Engineered stem cells to selectively deliver suicide genes/prodrugs for targeting metastatic cancers)

기존의 암 치료방법 (화학적 요법, 방사선 요법)이 유발하는 부작용으로 인해 새로운 암 치료법의 필요하다. 본 연구실에서는 자살유전자와 사이토카인을 함께 발현하는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유방암을 비롯한 다양한 암 및 전이성 암의 세포, 동물 모델을 통해 암의 증식억제 효과, 실험동물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한다.

 

3. 인간 PBMC 주입 마우스 모델 구축 및 효능 평가/인간 면역세포 주입 마우스 모델 구축 및 효능 평가

인간화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신약 및 세포치료제의 효능 검증

 

4. 반려동물 중개의학 플랫폼 구축

자연발생적 반려동물 모델을 이용한 세포치료제 및 치료물질의 효능 검증을 통하여 신약개발의 성공률 향상과 반려동물의 복지증진을 위한 비교 임상시험 구축하고 있다.

최경철 교수는 한국독성학회 학술위원장, 사무총장 및 부회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대한수의학회 학술위원장, 한국동물실험대체법학회 사무총장 및 한국실험동물학회 간사 및 위원장으로

활약하고 있으며 국내외 관련 학술단체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또한 최경철 교수는 국내학술지인 Journal of Biomedical Res (JBR)의 편집장으로 오랫동안 봉사하였는데 2016년 중국난징의과학대학교 같은 이름의 저널인 JBR (Scopus지)과 합병하여 현재 공동으로 출판하고 있으며 현재 Associate Editor-in Chief으로 활약하고 있다.

면역학 실 험실에서는 한 국연구재단, 식 품의약품안전처, 농 촌진흥청, 농 기평, 중 소기업청 등으로부터 연구과제가 선정되어 다양한 주제의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2016년5월에 ‘암과 뇌질환에 대한 미래형 첨단 치료제 개발과 상용화 연구’로 중점연구소 후속과제가 선정되어 주관연구책임자로 활약하였으며 2018년8월부터 해외우수기관유치사업의 일환인 ‘반려동물 중개의학 암센터’의 센터장을 맡아 미국 존스홉킨즈대학과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다.